The Korean Society of Climate Change Research
[ Article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Vol. 8, No. 3, pp.201-211
ISSN: 2093-5919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17
Received 29 Jun 2017 Revised 21 Jul 2017 Accepted 16 Aug 2017
DOI: https://doi.org/10.15531/KSCCR.2017.8.3.201

지리산국립공원 세석지역의 아고산 관속식물상

노일* ; 정재민** ; 조민기*** ; 김태운**** ; 문현식****,
*국립공원관리공단 내장산사무소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경상대학교 산림자원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The Flora of Subalpine Vascular Plants in Seseok Area of Jirisan National Park
Noh, Il* ; Chung, Jae-Min** ; Cho, Min-Gi*** ; Kim, Tae-Woon**** ; Moon, Hyun-Shi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Jeongeup 56199, Korea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1186, Korea
***Southern Forest Resources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Jinju 52817, Korea
****Dep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Korea

Correspondence to: hsmoon@gnu.ac.kr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scular plants which can be an indicator of environmental change in Seseok of Jirisan National Par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subalpine species. This study showed that the area had a total 295 taxa including 63 families, 177 genus, 252 species, 2 subspecies, 36 variants 5 forms and Pte-Q was 1.7. Among them, Korea endemic plants were 15 taxa such as Abies koreana. Rare plants were 14 taxa such as Viola diamantiaca. Naturalized plants consisted of 5 taxa such as Rumex crispus.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surveyed area were 72 taxa comprising 3 taxa of grade Ⅴ, 7 taxa of grade Ⅳ and 24 taxa of grade Ⅲ. In summary, The subalpine plants of the survey region consisted of 37 taxa including Abies koreana and Gymnadenia cucullata. As rare plants distributed in subalpine zone respond sensitively to climate change, accuracy distribution rang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habitat and population dynamics of rare plants should be evaluated quantitatively.

Keywords:

Subalpine Zone, Vascular Plants, Climate Change, Rare Plant, Subalpine Plant

1. 서 론

아고산대는 산림한계선부터 교목한계선에 이르는 범위로 경관과 식생이 분포하는 공간이 매우 좁고 생물자원의 분포와 가치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 곳이다(Kong, 2007). 아고산지대의 생태계는 물리적, 환경적 여건이 열악하여, 외부의 작은 교란요인이라도 식물의 생리적인 면이나 성장 및 주변 생태계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Kayama et al., 2009; Iijima et al., 2009). 하지만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아고산대에 서식하는 생물자원들은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다. 특히 한반도는 다른 지역에 비하여 기온상승의 가능성이 높고, 그 증가율도 높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Lee, 2011), 아고산대의 환경변화는 다른 곳에 비해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 아고산대 주요 식물은 외부의 작은 교란에도 생장이 감소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들 아고산식물의 개체 유지와 보존의 중요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Kong, 1998).

산림 내 생육하는 식물은 각각의 사소한 식물일지라도 식물종의 고유한 특성과 그 지역의 생태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관점에서 조사·분석되어야 하며(Choi, 2009), 생물종다양성을 파악하는 것은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구성원들의 유전적 가치를 파악하고 확보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분야이다. 아고산대의 식생에 대해서는 구상나무군락(Kim et al., 2012; Cho et al., 2015; Cho et al., 2016; Noh, 2017), 가문비나무군락(Cho et al., 2012), 주목군락(Cho et al., 2012)을 대상으로 한 식생구조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 등으로 이들 아고산성 수종의 개체수 및 분포지 면적이 감소하고 있다는 결과가 제시되고 있다. 특정지역에 나타나는 식물종은 그 지역의 환경에 적응한 결과이기 때문에 기후변화 등과 같은 환경변화는 직접적으로 식물상 조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식물종들은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기 때문에, 식물종 분포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분석은 어떤 분야의 연구보다도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Kim(2017)은 금오산의 과거 50년간의 식물상을 분석하여 기온상승으로 대형지상식물과 소형지상식물의 비율이 감소하고, 지중식물과 반지중식물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고 보고한 바 있다. 아고산대에서의 식물상 분석은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변화의 지표가 될 수 있으나, 덕유산 아고산대(향적봉-중봉)의 식물상(Han, 2013), 남덕유산 아고산대의 식물상(Lee et al., 2013)에 관한 연구를 제외하면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세석지역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파악하여 기후변화에 취약한 이들의 보전관리 및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아고산대 식물상의 추이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Fig. 1.

The location map of this study.


2. 재료 및 방법

2.1 연구대상지

백두대간의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지리산국립공원은 1967년에 지정된 1호 국립공원이며, 483.022 km2의 면적을 지닌 가장 넓은 면적의 산악형 국립공원이다. 천왕봉(1,915 m)을 중심으로 동·서 방향으로 20여 개의 봉우리가 펼쳐져 있으며, 노고단에서 천왕봉에 이르는 능선부와 높은 봉우리 주변에 아고산 식생이 군락을 형성하고 있다. 지리산국립공원에 존재하는 아고산대에는 구상나무, 가문비나무 등 대표적 아고산 수종이 군락을 이루며 생육하고 있으나,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활력이 떨어지거나, 고사·쇠퇴 현상이 발생하는 등 식물환경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Cho et al., 2015). 본 연구가 수행된 세석지역은 1,490∼1,864 m의 해발고에 위치하며, 남한에서 가장 높은 고위평탄면이다. 1990년대까지는 야영이 가능하였고, 군부대의 산악 훈련 등으로 황폐화되었지만, 국립공원관리공단의 복원사업 등으로 생태계가 안정되었고, 주변으로 구상나무, 가문비나무 등 아고산 식물이 군락을 이루어 생육하고 있다. 식물구계학적으로는 남부아구에 속하며, 식물군계 수준에서는 한국 냉온대, 식물지리학적 분포는 한반도아형의 남부/산지형이다.

본 조사지의 기상자료는 경남 산청군의 최근 10년간 기상자료에 온도체감율(0.56℃/100 m)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연평균기온은 4.34℃, 연평균강수량은 1,556.8 mm로 분석되었다(KMA, 2017).

2.2 연구방법

현장조사는 2014년 6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총 8회 15일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경로는 크게 5개로 설정하였으며, 대피소 부근도 포함시켰다. 식물의 동정은 Lee(2003)의 문헌을 참고하여 현장에서 동정하여 직접 기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현지에서 동정이 어려운 종은 채집 후 정밀 동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부 동정이 불가능한 종 이외에는 식물체를 채집하지 않았다. 분류군 배열은 Engler 체계(Melchoir, 1964)에 따라 나열하였고, 학명과 국명은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2007)의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의거하여 작성하였다. 특산식물은 Oh et al.(2005), 희귀식물은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Ministry of Environment(2012), 귀화식물은 Lee et al.(2011)의 문헌을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식물상에 대한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분석과 평가를 위해서 식물상을 활용한 생태적 지수를 활용하였다(Oh and You, 2012).


3. 결과 및 고찰

3.1 식물상

본 연구지에서 나타난 관속식물상은 63과 177속 252종 2아종 36변종 5품종 295분류군(Table 1)으로, 한반도 관속식물 4,495분류군(http://www.nature.go.kr/kpni/: Korea National Arboretum, 2014)의 6.6%, 지리산국립공원 관속식물 1,825분류군(Jang, 2007)의 약 16%에 해당한다. 분류체계별 현황을 살펴보면 양치식물 19분류군(6.4%), 나자식물 7분류군(2.4%), 단자엽식물 42분류군(14.2%), 쌍자엽식물 227분류군(76.9%)으로 나타났다. 쌍자엽식물이 양치식물, 단자엽식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구성비율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쌍자엽식물의 분포가 높게 나타나는 중부지역의 특성이 나타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Kim et al., 2008). 과별 분포현황은 국화과 32분류군(10.8%), 벼과 21분류군(7.1%), 장미과와 사초과 14분류군(4.7 %), 면마과와 미나리아재비과 13분류군(4.4%), 범의귀과 12분류군(4.1%)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지와 유사한 아고산대인 덕유산 향적봉-중봉의 과별 분포현황은 백합과, 국화과, 장미과, 범의귀과, 미나리아재비과(Han, 2013) 순으로 나타나, 국화과가 높은 비율의 분포를 보였는데, 이는 국화과의 식물이 다른 과의 식물에 비해 종자결실량이 많아 번식에 유리하기 때문이다(Ko et al., 1995). 조사대상지 면적 등의 차이 때문에 분류군의 단순한 비교보다는 식물의 종다양도를 나타내는 방법인 종/속 비율을 분석하였다. 세석 지역의 종/속 비율은 1.67로 지리산국립공원의 종/속 비율 2.06(Jang et al., 2007)보다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가 아고산대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덕유산국립공원(향적봉-중봉) 아고산대의 1.48(Han, 2013), 남덕유산 아고산대의 1.71(Lee et al., 2013)과는 큰 차이가 없었다. 비교적 교란이 적은 고온다습한 지역에 많이 분포하는 양치식물은 19분류군으로 지리산국립공원에 자생하는 135분류군(Gwon et al., 2013)의 14.1 %, 국내 양치식물 334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08)의 5.7%에 해당한다. 또한 자연의 파괴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사용되는 양치식물계수(Pte-Q = 25 × 양치식물종수/현화식물종수)는 1.61로, 지리산국립공원의 1.80(Gwon et al. 2013)보다는 낮았으나, 덕유산국립공원(향적봉-중봉)의 1.48(Han, 2013)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The flora of vascular plant in survey site

3.2 특정식물종

3.2.1 특산식물

특산식물은 한반도 자연환경의 지리적 특수성에 적응하여 진화해온 식물자원으로 다양한 유전정보가 담겨있는 귀중한 자원이다. 본 연구지에 자생하는 특산식물은 구상나무, 키버들, 좀고채목, 진범, 노각나무 등 15분류군(Table 2)이 확인되었다. 세석 지역 관속식물 295분류군의 5.1%, 우리나라 특산식물 328분류군(Oh et al., 2005)의 4.6%에 해당한다. 덕유산국립공원 아고산대(향적봉-중봉)의 5.9%(Han, 2013)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본 조사지의 구상나무는 지리산국립공원의 다른 구상나무 자생지와 달리 쇠퇴하지 않는다고 보고된 바 있다(Cho et al., 2015). Oh et al.(2005)은 특산식물은 과거에는 광범위하게 분포하던 종이 여러 환경요인에 의해 분포역이 좁아진 잔존고유종(relic endemics)이거나, 분화에 의해 신규로 형성된 신고유종(neo-endemics)일 것이기 때문에 개체군의 크기가 축소되거나, 소집단 상태를 유지하는 경향을 보여 보전학적으로 중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특산식물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자생지의 생육환경이 위험해질 수 있어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종이다(Cuenca et al., 1999). 지리산국립공원은 연간 약 3백만 명 이상의 탐방객이 찾는 곳이며, 세석 지역에는 세석대피소가 위치하고 있어 탐방객에 의한 생태계 교란의 위험이 특히 높은 지역이다. 또한 기존의 식물상을 다룬 연구에서는 특산식물의 출현 유무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지만, 현지 내·외 보전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자생지 주변의 입지 및 생태적 특성에 대한 분석까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in survey site

3.2.2 희귀식물

희귀식물은 개체군의 크기가 극히 적거나 감소하여 보존이 필요한 식물로서 일반적으로 보호가 필요한 식물을 의미하며, 유전적으로 경쟁력이 약한 식물종들이기 때문에, 특산식물과 마찬가지로 관찰 및 관리가 필요한 종이다. IUCN에서는 멸종(EW), 멸종위기종(CR), 위기종(EN), 취약종(VU), 약관심종(LC) 및 자료부족종(DD)의 범주로 분류하고 있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지리산국립공원 세석지역의 희귀식물을 등급별로 보면, 멸종위기종은 진퍼리잔대, 구름병아리난초 2분류군, 위기종은 땃두릅나무, 흰참꽃나무, 나도씨눈란 3분류군, 취약종은 가문비나무, 주목, 백리향, 나도제비란, 큰방울새란 5분류군, 약관심종은 늦고사리삼, 구상나무, 세잎종덩굴, 금강제비꽃, 만병초, 꽃개회나무, 과남풀, 덩굴꽃마리, 금마타리 9분류군 등 총 19분류군(Table 3)이 출현하여 희귀율(희귀식물 분류군 수/출현식물의 분류군 수 × 100)은 6.4%, 지리산국립공원 희귀식물 66분류군(Jang, 2007)의 약 29%에 해당한다. 희귀식물의 보전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대상 식물 개체군에 대한 생태와 분포 범위, 크기, 동태 등에 관한 서식처 정보를 통해 보전지위 평가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지만, 객관적 정보가 수집되지 못한 실정이다. 희귀·특산식물인 매미꽃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을 분석한 Son et al.(2013)의 연구를 제외하면 지금까지 희귀·특산식물에 대해서는 대상지역의 관속식물상을 다룬 연구에서 특정 희귀·특산식물 분류군의 출현 유무만을 다룬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향후 현지 내·외 보전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라도 희귀·특산식물 자생지의 서식처 정보를 다룬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list of Korean rare plants in the survey area

3.2.3 귀화식물

귀화식물은 외국을 원산지로 하면서 국내에 들어와 자생하고 있는 식물로, 주로 인위적 교란으로 침입하는 종이다. 귀화식물은 자연생태계에 대하여 인간의 간섭정도를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지표이며, 식물상 조성의 변화와 자생식물과의 경쟁관계 등을 나타내기도 한다(Oh and Kim, 2008). 본 연구지에서 출현한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미국자리공, 토끼풀, 달맞이꽃, 돼지풀 등 총 5분류군(Table 4)으로, 귀화율(귀화식물의 분류군 수/출현식물의 분류군 수 × 100)은 약 1.7%로 우리나라 산지의 평균귀화율 4.4%(Kim et al., 2000)보다 낮게 나타나, 비교적 산림이 잘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세석 대피소를 이용하는 많은 탐방객의 영향으로 귀화율이 높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귀화식물의 출현율이 낮은 것은 생태복원 이후부터 지속적인 귀화식물 제거 등의 관리가 이루어진 결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출현한 귀화식물 중 끊어진 뿌리나 줄기에서도 성체가 발생하여 자생식물의 생육에 피해를 주는 소리쟁이, 토양을 산성화 시키고 생태계를 파괴하는 미국자리공, 개화기에 꽃가루가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되는 돼지풀은 아고산대의 생태계와 지리산국립공원을 찾는 탐방객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식물로 즉시제거 등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종이다.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survey area

3.2.4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그 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분류하기 위한 지표이며, 서로 유사한 지역의 환경을 서로 유사하게 표현하는데 이용된다(Takhtajan, 1986).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Ministry of Environment, 2012)을 등급별로 보면, Ⅴ등급은 땃두릅나무, 진퍼리잔대 등 3분류군, Ⅳ등급은 털동자꽃, 지리터리풀, 산쥐손이 등 7분류군, Ⅲ등급은 늦고사리삼, 진저리고사리, 족제비고사리 등 24분류군, Ⅱ등급은 가래고사리, 동의나물, 털괭이눈 등 19분류군, Ⅰ등급은 관중, 전나무, 잣나무 등 19분류군 등 총 72분류군이 출현하였다(Table 5). 세석지역 전체 분류군의 24.4%이며, 덕유산국립공원 아고산대(향적봉-중봉)의 32.1%(Han, 2013)보다 낮았으나, 남덕유산 아고산대의 15.8%(Lee et al., 2013)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본 조사지역에 나타난 특정식물은 지리산국립공원 전체 특정식물 121분류군(Jang, 2007)의 약 60%에 해당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특이성이 높아 분포지에 대한 상세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알려진 Ⅲ등급 이상 식물은 총 34분류군이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그 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분류하고 종 보전 순위의 지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자생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기후변화에 의한 아고산대 식물생태계 보전 및 보호를 위한 방안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list of specific plant species in the survey area

3.3 아고산대 식물

지리산국립공원 세석지역에 분포하는 아고산대 식물을 Lee (2000), Lee(2003), Korea National Arboretum의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의 자료를 참조하여 정리한 결과, 21과 29속 33종 1품종 3변종, 총 37분류군의 아고산 식물들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6). 남덕유산에 분포하는 아고산식물 24분류군(Lee, 2013)보다 많은 분류군이 나타났으며, 구상나무, 사스래나무, 시닥나무, 곰취, 마가목, 눈개승마, 흰송이풀, 미역줄나무, 과남풀, 흰참꽃나무, 산오이풀은 두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출현한 아고산 식물이었다. 세석지역에서는 이들 아고산 식물이 세석에서 촛대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암벽지대와 구상나무 군락에서 주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인 세석지역은 구상나무 군락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구상나무 군락 및 군락 내 식물자원 보호를 위해 보호지역의 확대, 탐방로 정비 등을 통한 보호 조치 및 종자발아를 통한 개체수 증식 등 적극적인 보전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아고산대는 북방계 식물들의 잔존적 피난처로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식물들은 기후와의 연관성이 높아 기후변화 등의 환경변화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생장량 감소 등으로 멸종 및 절멸 위험에 크게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Chung et al., 2013). 특히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희귀식물은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분류군이기 때문에, 구상나무, 가문비나무, 주목, 금강제비꽃, 땃두릅나무, 만병초, 흰참꽃나무, 꽃개회나무, 과남풀, 백리향, 구름병아리난초, 나도제비란 등에 대해서는 식물의 정확한 분포범위, 자생지의 환경특성, 개체군 동태 등의 생물학적 특성이 정량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Son et al., 2013).

The list of subalpine plants in the surveyed area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세석지역의 아고산 식물상을 분석하여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아고산대 식물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아고산대에 대해서는 구상나무, 가문비나무, 주목, 분비나무 등 침엽수림의 식생구조 및 동태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지만, 식생구조보다는 식물상 변화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이 더 직접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아고산대 식물상의 변화와 기후변화와의 관련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아고산 생태계의 효율적인 보전 및 관리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s

  • Cho, MG, Chung, JM, Jung, HR, Kang, MY, Moon, HS., (2012), Vegetation structure of Taxus cuspidata communities in subalpine zone, J Agric Life Sci, 46, p1-10.
  • Cho, MG, Chung, JM, Jung, HR, Kang, MY, Moon, HS., (2012), Vegetation structure of Picea jezoensis communities in Mt. Deogyu and Mt. Gyebang, J Agric Life Sci, 46, p33-41.
  • Cho, MG, Chung, JM, Kim, TW, Kim, CY, Noh, I, Moon, HS., (2015),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ies koreana forest on Seseok in Mt. Jiri, J Clim Chan Res, 6, p379-388. [https://doi.org/10.15531/ksccr.2015.6.4.379]
  • Cho, MG, Chung, JM, Im, HI, Noh, I, Kim, TW, Kim, CY, Moon, HS., (2016),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on Banyabong in Mt. Jiri, J Clim Chan Res, 7, p465-476. [https://doi.org/10.15531/ksccr.2016.7.4.465]
  • Choi, HR., (2009), Analysis of forest resources in Mt. Youngin arboretum development region and its floral investigation, MS Thesis, Sangmyeong University, p91.
  • Chung, JM, Son, SW, Kim, SY, Park, GW, Kim, SS., (2013), Genetic diversity and geographic differentiation in the endangered Primula farinosa subsp. modesta, a subalpine endemic to Korea, Korean J Pl Taxon, 43, p236-243. [https://doi.org/10.11110/kjpt.2013.43.3.236]
  • Cuenca, S, Amo-Marco, JB, Parra, R., (1999), Micro-propagation form inflorescence stems of the Spanish endemic plant Cnetaurea paui Loscos ex Willk (Compositae), Plant Cell Reports, 18, p674-679.
  • Gwon, JH, Sin, MK, Lee, KH, Song, HK., (2013), The pteridophytes flora of Jiris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l, 27, p529-543. [https://doi.org/10.13047/kjee.2013.27.5.529]
  • Han, SH., (2013), A study of the flora and forest vegetation classification of Hyangjeukbong to Jungbong in subalpine zone of Deogyusan National Park, MS Thesis, Gongju University, p49.
  • Jang, CG, Kim, YY, Ji, SJ, Ko, EM, Yang, JC, Jang, CS, Eom, JA, Yoon, CY, Chang, CS, Lee, CH, Kim, KS, Oh, BU., (2007), The floristic study of Chirisan National Park in Korea, Korean J Pl Taxon, 37, p155-196.
  • Iijima, H, Shibuya, M, Saito, H., (2009), Examination of the coexistence mechanism of two major conifers in Hokkaido, northern Japaj, based on differences in suitable germination conditions and shade tolerance, Ecoscience, 16, p352-360. [https://doi.org/10.2980/16-3-3222]
  • Kayama, M, Makoto, K, Nomura, N, Sasa, K, Koike, T., (2009), Growth characteristics of Sakhalin spruce (Picea glehnii) planted on the northern Japanese hillsides exposed to strong winds, Trees, 23, p145-157. [https://doi.org/10.1007/s00468-008-0263-2]
  • Kim, CH, Cho, MG, Kim, JK, Choi, MS, Chung, JM, Kim, JH, Moon, HS., (2012), Vegetation change and growing characteristics of Abies koreana population by altitude in Georim valley of Mt. Jiri, J Agric Life Sci, 46, p1-8.
  • Kim, JH, Kim, YH, Yoon, YC, Kim, JH., (2008), The flora of Mt. Biseul in Daegu, Kor J Env Eco, 22, p481-504.
  • Kim, JM, Yim, YJ, Jeon, ES., (2000), Naturalized plants of Korea, Science Books, Seoul, p272.
  • Kim, NS, Lee, HC., (2013), A study on changes and distributions of Korean fir in sub-alpine zone, Kor Soc For Env Res Rev Tec, 16, p49-57. [https://doi.org/10.13087/kosert.2013.16.5.049]
  • Kim, WT., (2017), A study on the variation in floral diversity of Geumosan according to climate change,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p80.
  • Ko, KS, Kang, IG, Suh, MH, Kim, JH, Kim, DG, Kil, GH, Jeon, ES., (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s, Natur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25-35.
  • Kong, WS., (1998), The distributional patterns of alpine plants of Mt. Halla. Cheju island, Korea, J Kor Geo Soc, 32, p191-208.
  • Kong, WS., (2007), Biogeography of Korean plants, Geobook, Seoul, p355.
  • Korea Forest Service,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332.
  • Korea Meteorological Adminstration, (2017), http://www.kma.go.kr.
  •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p548.
  • Lee, DH, Jin, DP, Lee, JH, Choi, IS, Choi, BH., (2013), Floristic study of Mt. Namdeogyu, Korean J Pl Taxon, 43, p69-79. [https://doi.org/10.11110/kjpt.2013.43.1.69]
  • Lee, HY., (2013), The phyt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ies nephrolepis community and population dynamics as climate condition changes in Mt. Seorak, Korea,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p184.
  • Lee, SG., (2011), Effects of temperature increases on the distribution of plants and vulnerability analysis,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p284.
  •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 Lee, YM, Park, SH, Jung, SY, Oh, SH, Yang, JC.,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 41, p87-101.
  • Lee, YN., (2000), Alpine flowers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 Melchoi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Ⅱ, Gebruder Borntraeger, p666.
  •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The 4th national environmental survey guidelines, Ministry of Environment, p486.
  • Noh, I., (2017),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in Jirisan National Park, Dissertation, Gyeongsang University, p108.
  • Oh, BU, Jo, DG, Kim, KS, Kang, C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 Oh, HK, Kim, HJ., (2008), The plant resources of the sand dune on southern coast and Jeju Island, Korean J Pl Res, 21, p374-387.
  • Oh, HK, You, JH., (2012), The basic study for developing plant ecological indices of Sacheon-si, Gyeongsangnam-do, J Env Imp Ass, 21, p509-523.
  • Son, SW, Choi, KS, Park, KT, Kim, EH, Park, SJ., (2013),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the Korean rare and endemic species, Deutzia paniculata Nakai, as revealed by ISSR markers, Korean J Pl Res, 26, p619-627. [https://doi.org/10.7732/kjpr.2013.26.5.619]
  • Takhtajan, A., (1986), Floristic regions of world, University California Pre, 20, p51-75.

Appendix

Appendix 1. The vascular plants list of this study

Fig. 1.

Fig. 1.
The location map of this study.

Table 1

The flora of vascular plant in survey site

Taxa Fam. Gen. Sp. Subsp. Var. For. Total
Pteridophyta 6 14 18 - 1 - 19
Gymnospermae 2 5 7 - - - 7
Angiospermae 55 158 227 2 35 5 269
 Dicotyledoneae 3 25 37 - 5 - 42
 Monocotyledonea 52 133 190 2 30 5 227
Total 63 177 252 2 36 5 295

Table 2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in survey site

No. Family name Scientific-Korean name
1 Pinaceae Abies koreana 구상나무
2 Salicaceae Salix koriyanagi 키버들
3 Betulaceae Betula ermanii var. saitoana 좀고채목
4 Ranunculaceae Aconitum pseudolaeve 진범
5 Theaceae Stewartia pseudocamellia 노각나무
6 Saxifragaceae Philadelphus schrenkii 고광나무
7 Rosaceae Filipendula formosa 지리터리풀
8 Araliaceae Eleutherococcus divaricatus var. chiisanensis 지리산오갈피
9 Umbelliferae Angelica cartilagino-marginata var. distans 흰바디나물
10 Oleaceae Fraxinus chiisanensis 물들메나무
11 Rubiaceae Asperula lasiantha 갈퀴아재비
12 Caprifoliaceae Weigela subsessilis 병꽃나무
13 Compositae Crepidiastrum koidzumianum 지리고들빼기
14 Cyperaceae Carex erythrobasis 한라사초
15 Cyperaceae C. okamotoi 지리대사초

Table 3

The list of Korean rare plants in the survey area

No. Family name Scientific-Korean name Rare plants list (2010)
CR: Critically endangered, EN: Endangered species, VU: Vulnerable, LC: Least concerned.
1 Valerianaceae Botrychium virginianum 늦고사리삼 LC
2 Pinaceae Abies koreana 구상나무 LC
3 Pinaceae Picea jezoensis 가문비나무 VU
4 Taxaceae Taxus cuspidata 주목 VU
5 Ranunculaceae Clematis koreana 세잎종덩굴 LC
6 Violaceae Viola diamantiaca 금강제비꽃 LC
7 Araliaceae Oplopanax elatus 땃두릅나무 EN
8 Ericaceae Rhododendron brachycarpum 만병초 LC
9 Ericaceae Rhododendron tschonoskii 흰참꽃나무 EN
10 Oleaceae Syringa wolfii 꽃개회나무 LC
11 Gentianaceae Gentiana triflora var. japonica 과남풀 LC
12 Boraginaceae Trigonotis icumae 덩굴꽃마리 LC
13 Labiatae Thymus quinquecostatus 백리향 VU
14 Valerianaceae Patrinia saniculaefolia 금마타리 LC
15 Campanulaceae Adenophora palustris 진퍼리잔대 CR
16 Orchidaceae Gymnadenia cucullata  구름병아리난초 CR
17 Orchidaceae Herminium monorchis 나도씨눈란 EN
18 Orchidaceae Orchis cyclochila  나도제비란 VU
19 Orchidaceae Pogonia japonica 큰방울새란 VU

Table 4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survey area

No. Family name Scientific-Korean name N.D Int.P.
N.D.: Naturalized degree, Int.P.: Introduced period (1: 1876- 1921, 2: 1922-1963, 3: 1964-recent).
1 Polygonaceae Rumex crispus 소리쟁이 5 1
2 Phytolaccaceae Phytolacca americana 미국자리공 3 3
3 Leguminosae Trifolium repens 토끼풀 5 1
4 Onagraceae Oenothera biennis 달맞이꽃 5 1
5 Compositae Ambrosia artemisiifolia 돼지풀 5 2

Table 5

The list of specific plant species in the survey area

No. Family name Scientific-Korean name Degree
1 Araliaceae Oplopanax elatus 땃두릅나무
(3 taxa)
2 Campanulaceae Adenophora palustris 진퍼리잔대
3 Orchidaceae Gymnadenia cucullata 구름병아리난초
4 Caryophyllaceae Lychnis fulgens 털동자꽃
(7 taxa)
5 Rosaceae Filipendulaformosa 지리터리풀
6 Geraniaceae Geranium dahuricum 산쥐손이
7 Aceraceae Acer pictum subsp. mono 고로쇠나무
8 Aceraceae Acer tegmentosum 산겨릅나무
9 Ericaceae Rhododendron tschonoskii 흰참꽃나무
10 Oleaceae Syringa wolfii 꽃개회나무
11 Ophioglossaceae Botrychium virginianum 늦고사리삼
(24 taxa)
12 Dryopteridaceae Dryopteris maximowiczii 진저리고사리
13 Dryopteridaceae Dryopteris varia 족제비고사리
14 Pinaceae Abies koreana 구상나무
15 Pinaceae Picea jezoensis 가문비나무
16 Taxaceae Taxus cuspidata 주목
17 Betulaceae Betula costata 거제수나무
18 Ranunculaceae Clematis koreana 세잎종덩굴
19 Theaceae Stewartia pseudocamellia 노각나무
20 Cruciferae Cardamine amaraeformis 꽃황새냉이
21 Crassulaceae Meterostachys sikokiana 난쟁이바위솔
22 Saxifragaceae Saxifraga oblongifolia 참바위취
23 Rosaceae Sanguisorba hakusanensis 산오이풀
24 Aceraceae Acer barbinerve 청시닥나무
25 Aceraceae Acer komarovii 시닥나무
26 Aceraceae Acer ukurunduense 부게꽃나무
(24 taxa)
27 Violaceae Viola diamantiaca 금강제비꽃
28 Umbelliferae Angelica gigas 참당귀
29 Ericaceae Rhododendron brachycarpum 만병초
30 Oleaceae Syringareticulata var. mandshurica 개회나무
31 Gentianaceae Swertia tetrapetala 네귀쓴풀
32 Rubiaceae Asperula lasiantha 갈퀴아재비
33 Labiatae Thymus quinquecostatus 백리향
34 Orchidaceae Herminium monorchis 나도씨눈란

Table 6

The list of subalpine plants in the surveyed area

No. Family Scientific-Korean name
1 Pinaceae Abies koreana 구상나무
2 Pinaceae Picea jezoensis 가문비나무
3 Taxaceae Taxus cuspidata 주목
4 Betulaceae Betula ermanii 사스래나무
5 Betulaceae B. ermanii var. saitoana 좀고채목
6 Caryophyllaceae Lychnis cognata 동자꽃
7 Ranunculaceae Aconitum jaluense 투구꽃
8 Ranunculaceae Cimicifuga dahurica 눈빛승마
9 Ranunculaceae C. simplex 촛대승마
10 Actinidiaceae Actinidia arguta 다래
11 Rosaceae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눈개승마
12 Rosaceae Sanguisorba hakusanensis 산오이풀
13 Rosaceae Sorbus commixta 마가목
14 Oxalidaceae Oxalis obtriangulata 큰괭이밥
15 Geraniaceae Geranium dahuricum 산쥐손이
16 Geraniaceae G. koreanum 둥근이질풀
17 Aceraceae Acer barbinerve 청시닥나무
18 Aceraceae Acer tegmentosum 산겨릅나무
19 Aceraceae A. komarovii 시닥나무
20 Aceraceae A. ukurunduense 부게꽃나무
21 Celastraceae Euonymus sachalinensis 회나무
22 Celastraceae Tripterygium regelii 미역줄나무
23 Violaceae Viola diamantiaca 금강제비꽃
24 Araliaceae Oplopanax elatus 땃두릅나무
25 Ericaceae Rhododendron brachycarpum 만병초
26 Ericaceae R. tschonoskii 흰참꽃나무
27 Oleaceae Syringa wolfii 꽃개회나무
28 Gentianaceae Gentiana triflora var. japonica 과남풀
29 Labiatae Thymus quinquecostatus 백리향
30 Scrophulariaceae Pedicularis resupinata 송이풀
31 Scrophulariaceae P. resupinata for. albiflora 흰송이풀
32 Caprifoliaceae Lonicera sachalinensis 홍괴불나무
33 Compositae Dendranthema sichotense 바위구절초
34 Compositae Ligularia fischeri 곰취
35 Compositae Saussurea grandifolia 서덜취
36 Orchidaceae Gymnadenia cucullata 구름병아리난초
37 Orchidaceae Orchis cyclochila 나도제비란

Scientific-Korean name Scientific-Korean name
Lycopodiaceae 석송과 Lycopodium serratum 뱀톱
Ophioglossaceae 고사리삼과 Botrychium virginianum 늦고사리삼
Pteridaceae 고사리과 Dennstaedtia hirsuta 잔고사리,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고사리
Dryopteridaceae 면마과 Arachniodes borealis 왁살고사리, Athyrium vidalii 산개고사리, Deparia conilii 좀진고사리, D. coreana 곱새고사리, D. crassirhizoma 관중, D. maximowiczii 진저리고사리, D. varia 족제비고사리, Onoclea orientalis 개면마, Polystichum tripteron 십자고사리, Thelypteris japonica 지네고사리, T. palustris 처녀고사리, T. phegopteris 가래고사리, Woodsia manchuriensis 만주우드풀
Aspleniaceae 꼬리고사리과 Asplenium yokoscense 뱀고사리
Polypodiaceae 고란초과 Lepisorus ussuriensis 산일엽초
Pinaceae 소나무과 Abies holophylla 전나무, A. koreana 구상나무, Larix kaempferi 일본잎갈나무, Picea jezoensis 가문비나무, Pinus densiflora 소나무, P. koraiensis 잣나무
Taxaceae 주목과 Taxus cuspidata 주목
Salicaceae 버드나무과 Salix caprea 호랑버들, S. gracilistyla 갯버들, S. koreensis 버드나무, S. koriyanagi 키버들
Betulaceae 자작나무과 Betula costata 거제수나무, B. ermanii 사스래나무, B. ermanii var. saitoana 좀고채목, Corylus sieboldiana var. mandshurica 물개암나무
Fagaceae 참나무과 Quercus mongolica 신갈나무
Urticaceae 쐐기풀과 Pilea japonica 산물통이
Polygonaceae 마디풀과 Bistorta incana 흰범꼬리, Fallopia japonica 호장근, Persicaria hastatosagittata 긴미꾸리낚시, P. nepalensis 산여뀌, Rumex acetosa 수영, R. crispus 소리쟁이
Phytolaccaceae 자리공과 Phytolacca americana 미국자리공
Caryophyllaceae 석죽과 Cerastium holosteoides var. hallaisanense 점나도나물, Cucubalus baccifer var. japonicus 덩굴별꽃, Lychnis cognata 동자꽃, L. fulgens 털동자꽃,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개별꽃, P. palibiniana 큰개별꽃, Stellaria media 별꽃
Chenopodiaceae 명아주과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명아주
Magnoliaceae 목련과 Magnolia sieboldii 함박꽃나무
Schisandraceae 오미자과 Schisandra chinensis 오미자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Aconitum chiisanense 지리바꽃, A. jaluense 투구꽃, A. pseudolaeve 진범, A. triphyllum 세잎돌쩌귀, Actaea asiatica 노루삼, Caltha palustris 동의나물, Cimicifuga dahurica 눈빛승마, C. simplex 촛대승마, Clematis apiifolia 사위질빵, C. heracleifolia var. davidiana 자주조희풀, C. koreana 세잎종덩굴, Thalictrum aquilegifolium var. sibiricum 꿩의다리, T. filamentosum var. tenerum 산꿩의다리
Berberidaceae 매자나무과 Berberis amurensis 매발톱나무
Lardizabalaceae 으름덩굴과 Akebia quinata 으름덩굴
Aristolochiaceae 쥐방울덩굴과 Asarum sieboldii 족도리풀
Actinidiaceae 다래나무과 Actinidia arguta 다래, A. kolomikta 쥐다래, A. polygama (Siebold & Zucc.) 개다래
Theaceae 차나무과 Stewartia pseudocamellia 노각나무
Guttiferae 물레나물과 Hypericum ascyron 물레나물, H. attenuatum var. confertissium 큰고추나물, H. erectum 고추나물
Fumariaceae 현호색과 Corydalis remota 현호색
Cruciferae 십자화과 Arabis gemmifera 산장대, Cardamine amaraeformis 꽃황새냉이, C. komarovii 는쟁이냉이
Crassulaceae 돌나물과 Hylotelephium erythrostictum 꿩의비름, Meterostachys sikokiana 난쟁이바위솔, Sedum aizoon 가는기린초, S. kamtschaticum 기린초, S. polytrichoides 바위채송화
Saxifragaceae 범의귀과 Astilbe rubra 노루오줌, Chrysosplenium pilosum 털괭이눈, Deutzia glabrata 물참대, D. parviflora 말발도리, D. uniflora 매화말발도리, Hydrangea serrata f. acuminata 산수국, Parnassia palustris 물매화, Philadelphus schrenkii 고광나무, Ribes mandshuricum 까치밥나무, R. maximowiczianum 명자순, Saxifraga fortunei var. incisolobata 바위떡풀, S. oblongifolia 참바위취
Rosaceae 장미과 Agrimonia pilosa 짚신나물,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눈개승마, Filipendula formosa 지리터리풀, F. glaberrima 터리풀, Geum aleppicum 큰뱀무, Geum japonicum 뱀무, Malus baccata 야광나무, M. baccata var. mandshurica 털야광나무, Rubus crataegifolius 산딸기, Sanguisorba hakusanensis 산오이풀, Sorbus alnifolia 팥배나무, S. commixta 마가목
Leguminosae 콩과 Lespedeza bicolor 싸리, L. cyrtobotrya 참싸리, Maackia amurensis 다릅나무, Trifolium repens 토끼풀
Oxalidaceae 괭이밥과 Oxalis corniculata 괭이밥, O. obtriangulata 큰괭이밥
Geraniaceae 쥐손이풀과 Geranium dahuricum 산쥐손이, G. koreanum 둥근이질풀, G. sibiricum 쥐손이풀, G. wilfordii 세잎쥐손이
Aceraceae 단풍나무과 Acer barbinerve 청시닥나무, A. komarovii 시닥나무, A. pictum subsp. mono 고로쇠나무, A. pseudosieboldianum 당단풍나무, A. tegmentosum 산겨릅나무, A. ukurunduense 부게꽃나무
Balsaminaceae 봉선화과 Impatiens nolitangere 노랑물봉선, I. textori 물봉선
Celastraceae 노박덩굴과 Celastrus orbiculatus 노박덩굴, Euonymus macropterus 나래회나무, E. oxyphyllus 참회나무, E. pauciflorus 회목나무, E. sachalinensis 회나무, Tripterygium regelii 미역줄나무
Vitaceae 포도과 Vitis amurensis 왕머루, V. ficifolia var. sinuata 까마귀머루
Tiliaceae 피나무과 Tilia amurensis 피나무, T. taquetii 뽕잎피나무
Violaceae 제비꽃과 Viola diamantiaca 금강제비꽃, V. japonica 왜제비꽃, V. mandshurica 제비꽃, V. orientalis 노랑제비꽃, V. rossii 고깔제비꽃
Onagraceae 바늘꽃과 Epilobium pyrricholophum 바늘꽃, Oenothera biennis 달맞이꽃
Cornaceae 층층나무과 Cornus controversa 층층나무
Araliaceae 두릅나무과 Aralia elata 두릅나무, Eleutherococcus divaricatus var. chiisanensis 지리산오갈피, Kalopanax septemlobus 음나무, Oplopanax elatus 땃두릅나무
Umbelliferae 산형과 Angelica amurensis 지리강활, A. cartilagino-marginata var. distans 흰바디나물, A. decursiva 바디나물, A. gigas 참당귀, A. polymorpha 궁궁이, Bupleurum longeradiatum 개시호, Heracleum moellendorffii 어수리, Pimpinella brachycarpa 참나물, P. koreana 가는참나물, Pleurospermum camtschaticum 왜우산풀
Pyrolaceae 노루발과 Chimaphila japonica 매화노루발
Ericaceae 진달래과 Rhododendron brachycarpum 만병초, R. mucronulatum 진달래, R. schlippenbachii 철쭉, R. tschonoskii 흰참꽃나무, R. yedoense for. poukhanense 산철쭉,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산앵도나무
Primulaceae 앵초과 Lysimachia barystachys 까치수염, L. clethroides 큰까치수염
Styracaceae 때죽나무과 Styrax obassia 쪽동백나무
Symplocaceae 노린재나무과 Symplocos chinensis f. pilosa 노린재나무
Oleaceae 물푸레나무과 Fraxinus chiisanensis 물들메나무, F. rhynchophylla 물푸레나무, F. sieboldiana 쇠물푸레나무, Syringa patula 털개회나무, S. reticulata var. mandshurica 개회나무, S. wolfii 꽃개회나무
Gentianaceae 용담과 Gentiana scabra 용담, G. triflora var. japonica 과남풀, Swertia pseudochinensis 자주쓴풀, Asperula lasiantha 갈퀴아재비, Paederia scandens 계요등
Boraginaceae 지치과 Trigonotis icumae 덩굴꽃마리
Verbenaceae 마편초과 Callicarpa japonica 작살나무
Labiatae 꿀풀과 Isodon excisus 오리방풀, I. excisus var. chiisanensis 둥근오리방풀, I. excisus var. coreanus 지리오리방풀, Meehania urticifolia 벌깨덩굴,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꿀풀, Scutellaria pekinensis var. transitra 산골무꽃, Thymus quinquecostatus 백리향
Scrophulariaceae 현삼과 Euphrasia hirtella 큰산좁쌀풀, Melampyrum roseum 꽃며느리밥풀, M. roseum var. ovalifolium 알며느리밥풀, Pedicularis resupinata f. albiflora 흰송이풀, P. resupinata 송이풀, Phtheirospermum japonicum 나도송이풀, Scrophularia kakudensis 큰개현삼, Veronica linariifolia 꼬리풀, V. rotunda var. subintegra 산꼬리풀
Plantaginaceae 질경이과 Plantago asiatica 질경이
Caprifoliaceae 인동과 Lonicera cerasoides 지리괴불나무, L. sachalinensis 홍괴불나무, L. vidalii 왕괴불나무, 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딱총나무, Viburnum erosum 덜꿩나무, V. opulus var. calvescens 백당나무, Weigela florida 붉은병꽃나무, W. subsessilis 병꽃나무
Valerianaceae 마타리과 Patrinia saniculaefolia 금마타리, P. scabiosaefolia 마타리, P. villosa 뚝갈, Valeriana fauriei 쥐오줌풀
Campanulaceae 초롱꽃과 Adenophora palustris 진퍼리잔대, A. remotiflora 모시대, A. remotiflora for. leucantha 흰모시대, A. verticillata 층층잔대
Compositae 국화과 Adenocaulon himalaicum 멸가치, Artemisia japonica 제비쑥, A. keiskeana 맑은대쑥, A. montana 산쑥, A. princeps 쑥, A. stolonifera 넓은잎외잎쑥, Aster ageratoides 까실쑥부쟁이, A. meyendorfii 개쑥부쟁이, A. scaber 참취, Atractylodes ovata 삽주,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엉겅퀴, C. pendulum 큰엉겅퀴, Crepidiastrum denticulatum 이고들빼기, C. koidzumianum 지리고들빼기, Dendranthema sichotense 바위구절초, D. zawadskii 산구절초, Eupatorium japonicum 등골나물, Hieracium umbellatum 조밥나물, Lactuca raddeana 산씀바귀, Leibnitzia anandria 솜나물, Ligularia fischeri 곰취, Parasenecio auriculata var. kamtschatica 나래박쥐나물, P. auriculata var. matsumurana 박쥐나물, Saussurea gracilis 은분취, S. grandifolia 서덜취, Serratula coronata var. insularis 산비장이,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미역취, Syneilesis palmata 우산나물, S. deltoides 수리취, S. excelsus 큰수리취
Gramineae 벼과 Agrostis clavata 산겨이삭, A. clavata var. nukabo 겨이삭, Agrostis flaccida var. trinii 검정겨이삭, Arundinella hirta 새, Brachypodium sylvaticum 숲개밀, Calamagrostis arundinacea 실새풀, Digitaria ciliaris 바랭이, Echinochloa crusgalli 돌피, Festuca ovina 김의털, F. subulata var. japonica 왕김의털아재비, Miscanthus sinensis 참억새, M. sinensis var. purpurascens 억새, Molinia japonica 진퍼리새, Muhlenbergia japonica 쥐꼬리새, Oplismenus undulatifolius 주름조개풀, Paspalum thunbergii 참새피, Poa sphondylodes 포아풀, Spodipogon cotulifer 기름새, S. sibiricus 큰기름새
Cyperaceae 사초과 Carex erythrobasis 한라사초, C. fernaldiana 실사초, C. hakonensis 애기바늘사초, C. humilis var. nana 가는잎그늘사초, C. lanceolata 그늘사초, C. leiorhyncha 산괭이사초, C. nervata 양지사초, C. okamotoi 지리대사초, C. planiculmis 그늘흰사초, C. sabynensis 실청사초, C. siderosticta 대사초, C. tenuiformis 나도그늘사초, Rhynchospora alba 흰고양이수염, Scleria parvula 너도고랭이
Orchidaceae 난초과 Cephalanthera longibracteata 은대난초, Gymnadenia cucullata 구름병아리난초, Herminium monorchis 나도씨눈란, Orchis cyclochila 나도제비란, Platanthera freynii 제비난초, P. hologlottis 흰제비란, Pogonia japonica 큰방울새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