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담론에서 인문학의 위상과 인문정책 방안
Abstract
The humanities have been one of the most marginalized disciplines in climate crisis discourse. The humanities have often been excluded from the policy process, including international agreements, planning, and implementation. The climate change field has promoted interdisciplinary and transdisciplinary studies, but they mostly involved social science,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the humanities were generally not considered. Neither has humanities research been well-represented for its essential, unique role in climate change discourse; therefore, expansion of academic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n discussion of the humanities are necessary.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wofold. First, it scrutinizes the weaknes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humanities in climate change discourse. Second, it proposes ways to promote participation of the humanities. In particular, it first proposes establishment of a new interdisciplinary field called "climate humanities” based on existing national research funds and projects and recommends curriculum change. There is currently very little teaching about the climate crisis from a humanities perspective. Including such materials in primary, secondary, and even higher education curricula will increase the significance of climate humanities and cultivate humanistic sensibility in future generations.
Keywords:
Climate Humanities, Climate Crisis, Climate Change Disciplines, Research Support, Education Policy1. 서론
현재 우리는 기후위기의 시대를 살고 있다.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위기는 다음 두 가지를 포함한다. 하나는 증가하는 온실가스로 인해 발생하는 기후재해이며, 다른 하나는 각국이 탄소중립을 선언하며 저탄소사회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도전들이다(Campiglio et al., 2018; Semieniuk et al., 2021). 전자인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재해는 COVID-19 팬데믹(Pandemic) 속에서도 끊이지 않고 있다. 유럽 선진국들(독일, 벨기에, 네덜란드 등)에서조차도 2021년 7월, 이틀간 내린 약 150 mm의 비로 2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하였고, 한화로 51조 원이 넘는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Christian Aid, 2021; Kreienkamp, 2021). 후자인 탄소중립(Carbon Neutral) 역시 세계 주요 국가들이 계속해서 선언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또한 2020년 10월 탄소중립 선언의 대열에 합류하였다(Oh et al., 2021; Liu et al., 2022). 하지만 화석연료를 줄이기 위해 대체 에너지원을 찾는 것이 쉽지 않아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에 부담이 발생하는 등 탄소중립사회로의 이행은 여러 도전들을 야기하고 있다.
기후변화는 이미 수십 년 전에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었다. 유엔기후변화협약(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이 채택된 것은 1992년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후문제에 대한 논의와 대처는 여전히 시작단계이다. 온실가스 배출은 아직 정점(Peak)에 이르지 못하였고(즉,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탄소중립의 속도는 미미하다(Huang and Zhai, 2021; Lamb et al., 2022). 최근엔 기후위기 문제가 사회담론의 주류(Mainstream)가 된 듯 보이지만, 주류가 되었다고 하기엔 여전히 다른 시급한 사안들에 비해 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전쟁이나 전염병 사태, 경제이슈가 발생하면 기후변화 문제는 우선순위에서 배제되기 마련인데(Van der Ven and Sun, 2021),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 2020년 COVID-19 팬데믹,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등이 그 사례이다. 매년 수백 건의 기록적인 이상기후가 발생하고 있는데도 인류는 아직 대처할 능력을 갖추지 못해 많은 생명과 재산을 빼앗아가고 있다(KMA, 2021). 기후재난이 강해지는 현상에 비해 인류의 적응능력은 상대적으로 느리게 향상되고 있는 것이다(Singh et al., 2020; Botzen et al., 2021).
다시 말해 인류는 전례 없는 위기를 맞이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나름의 노력을 했음에도 아직 더 많은 대응을 해야 하는 시기에 놓여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인류는 자신의 노력이 부족했던 부분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특별히 학문적인 관점에서 부족하고 소외된 부분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것은 바로 인문학이다. 기후변화 문제에 학문적인 대응을 위해 구성된 학문인 ‘기후변화학’에서 인문학은 단연 가장 다뤄지지 않았던 분야이다. 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 등은 서로 융합하여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나, 아직까지 인문학과 연계된 사례는 흔치 않았다. 국제협약이나 국가정책 등 정책담론 속에서도 인문학의 존재는 매우 미미하다. 하지만 인문학은 다소 간접적이고, 해석적이지만 기후위기에 대한 대응에 있어 역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Lee and Lim, 2022). 본 연구는 바로 기후변화를 다루는 인문학이 현재 기후변화 담론의 현장에서 어떻게 존재하고 있으며, 어떻게 장려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특히 기후변화학계의 대표 학술단체로 볼 수 있는 한국기후변화학회를 중심으로 인문학의 현재를 확인하고, 주요 기후변화 정책 속에서 인문학적 요소를 검토한다. 또한, 인문학에서 기후위기를 다루는 ‘기후인문학’의 학제적 등장에 따른 학문화 방안과 진흥방안에 대해 논한다. 해당 연구는 기후위기 대응뿐 아니라 인문학 진흥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2. 이론적 배경
기후변화 분야의 대표적 특징 중 하나는 협력과 연대에 큰 가치가 있다는 점이다. 전 지구적 문제 해결을 위해 유엔기후변화협약이 만들어졌으며, 국가 간 협력을 위한 기술 및 재정메커니즘도 포함되어 있다. 시민사회부터 정부, 민간기업, 국제사회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이해관계자들이 서로를 탓하기도 하고 원 팀(One Team)이 되어 협력하기도 한다. 유엔기후변화협약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원칙은 “공동의 그러나 차별화된 책임(Common But Differentiated Responsibilities)”이다. 기후문제가 모든 국가의 공통된 책임이라는 사실과 함께, 각 국가가 처한 상황 및 지금까지 기후문제에 각 국가가 기여한 수준, 앞으로의 경제성장 필요성 등을 고려한 차별적 책임이 부과된다는 개념이다(Eckersley, 2015). 이 원칙은 교토의정서에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이행 방식을 구분한 기초가 되었고, 현재도 기술과 재정메커니즘을 통해 개도국이 지원을 받는 기본 개념이 되고 있다. 즉, 최상위 국제협약에서도 기후문제의 근원적 불평등함을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기후위기의 불평등함은 전통적으로 경제성장을 앞서 이루면서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한 선진국들과 아직 개발되지 않은 개발도상국 간의 온실가스 감축 문제로 시작했다. 이에 더해 온실가스를 역사적으로 덜 배출한 지역에서 더 많은 기후재난을 경험하고 있는 것은 불평등을 심화시켜, 정의의 관점으로 인식을 돌렸다. 이러한 기후불평등과 기후정의는 비단 국가적 차원의 문제로만 대두되는 것은 아니다. 같은 국가, 같은 지역 내에서도 소득수준에 따라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며 안전한 계층,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하며 위험한 계층이 구분되고 있다(Schlosberg, 2012). 많은 이들에게 인문학과 기후위기의 관계가 생소할 수 있으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협력과 연대의 필요성이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이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인문학은 포괄적으로 서술하자면 궁극적으로 ‘인간에 대한 연구’이며, ‘인간성 혹은 인간됨에 대한 연구’라 할 수 있다. 인문학은 인간이 만들어 온 문학, 역사, 철학, 종교 등의 텍스트를 연구하며, 그 안에 담긴 인간의 경험들을 비판적으로 숙고하고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지혜를 제공한다(Lee and Lim, 2022). 위와 같은 중요한 역할에도 불구하고, 인문학은 현재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과학기술과 자본주의를 중심으로 하는 현대사회에서 인문학은 본질적으로 거대한 이익을 생산하는 주체가 아니기에, 자본이 인문학으로 재투입되는 순환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인문학의 위기는 내적인 이유도 동반한다. 김성민은 인문학 위기의 원인이 “정전화(canonization)”, “추상화”, “분과학문의 폐쇄성” 등에 있음을 지적하며, 이는 학문을 현실 세계와 적극적으로 연결하는 “세속적” 혹은 “실천적” 인문학으로 극복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Kim, 2015).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인문학이 다루는 텍스트들을 기후변화라고 하는 컨텍스트와 연결하는 시도는 매우 시기적절하고 필요한 작업임을 알 수 있다. 기후변화를 다루는 인문학은 협력과 연대를 기반으로 한 기후대응을 위해 필요한 연구들, 즉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고통이란 무엇인지, 그것은 인류에 어떤 존재론적인 성찰을 가져오는지, 기후변화를 초래한 기술의 발전과 인간의 삶의 패턴 속에 담긴 인간의 욕망과 본성은 무엇인지, 그리고 우리가 기후대응 속에 고려해야할 정의와 평화란 무엇인지 등에 대한 연구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이는 위기를 맞이한 인문학 자신에게도 존재의 이유를 깨닫게 하고, 연구의 활력을 불어넣어 줄 중요한 시도가 될 것이다.
현재까지 기후변화와 인문학을 접목한 연구는 많지는 않으나 철학에서는 윤리적 접근, 문학에서는 환경소설(cli-fi)에 대한 연구, 그리고 범종교학에서는 생태학과 접목된 연구 등이 진행되었다.1) 또한 기후변화를 인권과 정의의 문제로 연관지어 실행한 연구(Nixon, 2011; Khan et al., 2020), 인문학에서 어떻게 기후변화를 가르칠 것인지에 대한 연구(Siperstein et al., 2017), 그리고 거대사 연구에서는 인류세(anthropocene)에 대한 연구 등이 진행되었다(Hamilton, 2016; Kim et al., 2016; McCorriston and Field, 2019). 이외에도 환경공학과 교수가 자신의 강의를 기반으로 출판한 책 “기후변화와 인문학”(Jo, 2015)이나, 기후변화와 소설에 대한 연구(Yoo, 2021) 등이 있었다. 최근에는 기후변화 시대에서 물질의 사유에 대해 신학적 접근을 시도하기도 했다(Park, 2022). 문제는 이러한 기후변화와 인문학의 결합을 지지하고 진흥시킬 학문적 기반과 정책적 지원이 부족하다는 사실이다. 환경인문학이라는 이름의 연구가 다소 진행된 바는 있으나(Cohen and Foote, 2021; Hubbell and Ryan, 2021), 구체적으로 기후인문학의 영역을 제시하는 연구는 아직까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3. 연구방법 및 개념
본 연구는 문헌 및 정책분석을 통해 기후위기 담론에서 인문학의 현황 평가와 제언을 다룬다. 대상 자료에 대한 질적 연구에 기반하여 자료들을 수집 및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기후변화 담론에서 인문학의 현재 위상을 확인하기 위해 대표 학술단체의 구성원과 출판된 논문들을 분석한다. 또한, 정책 담론 속에서의 위상을 확인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주요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검토한다. 앞으로 인문학 진흥에 대한 제언 도출을 위해서는 앞서 기후변화 담론 속에서 위상을 근거로 방향을 추론한다. 또한, 연구진흥 차원에서는 관련 부처 연구정책과 기존 관련 사례들을 분석한다. 교육정책 차원에서는 현재까지의 교과목과 교육과정 등을 조사하여 시사점을 이끌어낸다.
본 논문에서 ‘기후인문학’은 기후변화에 응답하는 인문학적 연구들을 모아 총칭하는 것이라 정의한다. 이 학제를 제시하고 형성시키는 것의 의의는 먼저 ‘기후인문학’이라고 하는 개념의 형성을 통해 기후변화에 응답하는 인문학 연구들을 가시화시키는 것에 있다.
4. 기후변화 담론에서의 인문학
4.1. 기후변화 학제와 인문학
기후변화는 다(多)학제적이고 간(間)학문적인 특성을 갖는 학문으로 수많은 전통 학제(환경공학, 화학공학, 기계공학, 대기과학, 환경과학, 생태학, 정책학, 행정학, 경제학, 국제학, 외교학)들이 융합 및 공동 참여하고 있는 학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후변화 분야의 가장 대표적 학술단체인 ‘한국기후변화학회’의 구성원과 출판 논문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기후변화 학제에서 인문학의 현재를 파악한다.
‘한국기후변화학회’의 참여 회원과 논문 등을 분석한 결과, 인문학의 참여는 현재까지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한국기후변화학회의 경우 현 집행부(7차, 2021 ~ 2022년)는 분과위원회 체제로 분야별 조직이 구성되어 있다. 기후변화교육위원회, 기후변화과학위원회, 기후변화 영향적응 위원회, 기후변화에너지기술위원회, 기후변화정책위원회, 온실가스인벤토리위원회, 기후변화생태위원회, 기후변화지역위원회, 농업생태특별위원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후변화와 관련된 많은 학문영역이 포함되어 있으나, 인문학과 직접적인 분과는 아직 구성되어 있지 않으며, 기후변화교육위원회나 기후변화지역위원회 등이 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현 집행부의 전공영역을 구분해보면, 사회과학자(경제학, 정책학 등) 11인, 자연과학자(대기과학, 농학 등) 9인, 공학자(환경공학, 교통공학 등) 6인, 산업계 및 언론인 4인, 중등학교 교사 1인으로 구성되어 있다(Table 1). 인문학자의 참여는 전무한 상황이다. 전체 학회 회원들의 전공영역을 분석하는 것이 보다 정확할 수 있으나, 이는 개인정보제공에 대한 동의가 필요하므로 확인하지 못하였다.
한국기후변화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의 분석에서는 인문학의 부재가 더욱 여실히 드러난다. 한국기후변화학회지는 2010년부터 연 4회 발행하는 계간지로 논문을 수록하였으며,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이다. 2020년부터는 연 6회 및 특별호 추가발행으로 발행 부수를 늘려, 2021년에는 총 64건의 논문이 발행되었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인문학을 다루는 논문은 발행된 바가 없다. 최근 13년간 발행된 전체 논문의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인문’이 제목에 포함된 논문은 단 한 건도 존재하지 않았고, 이는 ‘문학’, ‘역사’, ‘철학’, ‘종교’ 등 인문학에 포함된 다른 용어에서도 동일했다(Table 2). 대부분의 논문은 온실가스의 감축기술, 경제적 평가, 정책방안, 미래 취약성 평가 등에 집중되어 있었다. 협력에 대한 연구들은 국제협약 메커니즘을 다루는 연구들이었으며, 교육을 다룬 논문은 단 두 건이었다(KSCC, 2022).
그 외 유관 학술단체들의 현황 또한 개략적으로 확인하였다. 기후변화를 다루는 주요 학술단체 중, 한국에너지기후변화학회의 경우 한국기후변화학회에 비해 더욱 공학적 학제에 중심을 두었으며, 학회 인사와 학술지에서 모두 에너지와 공학적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교육학계에서 창립하고 운영 중인 ‘한국환경교육학회’와 ‘한국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의 경우 이공계열의 참여는 매우 제한적이나 기후변화교육 측면에서는 다양한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두 학회에서는 인문계열 논문과 학술발표가 다수 존재하나, 대부분 교육과정과 교재관련 내용을 주제로 하는 한계가 있다. 특히, 과학교육이나 환경교육을 전공으로 하는 교육대학원의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작성되거나, 환경교육정책으로의 시사점을 지향하는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기후변화를 주 대상으로 삼는 학계에서는 사회과학·자연과학·공학 중심의 학문활동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교육학계에서는 기후환경교육만을 다루는 한계가 확인되었다. 분명 인문학에서도 기후변화를 텍스트로 삼는 연구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기후변화 학제에서 다뤄지거나 전통적 기후변화학자들과의 교류는 아직까지 전무한 상황이다.
4.2. 기후변화 정책 담론에서의 인문학
학문적 다학제성으로 인해 기후변화에 대한 정책 담론에서도 다양한 학문영역과 부처에서 참여하여 주요 정책과 계획들이 수립된다. 기후변화 적응 전문가위원회, 온실가스 감축 전문가위원회, 탄소중립위원회 등의 전문가그룹과 기본계획 참여부처 및 기관들을 분석한 결과, 아직까지 인문학적 소양을 지닌 전문가가 참여할 수 있는 부분이 매우 제한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제기후변화협정의 방향성과 함께, 기후변화에 가장 대표적 견해를 제시하는 국제기구인 IPCC에서는 Working Group(이하 WG)을 세 가지 분야로 나누어 전문가들의 참여를 구분하였다. WG Ⅰ에서는 기후변화의 물리과학적 기초, 즉 기후관측과 미래전망에 대해서 주로 다루며, WG Ⅱ에서는 기후변화의 영향, 적응 및 취약성에 대해 마지막으로 WG Ⅲ에서는 온실가스 감축에 관하여 다루는 전문가들의 참여가 이뤄지고 있다(IPCC, 2022). 비록 IPCC가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가 참여하여 폭넓은 시각에서의 기후변화를 논의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IPCC 설립 목적의 특성상 대부분의 전문가가 자연과학에서 출신이며, 그 외 사회과학 및 경제과학 등의 전문가가 참여하고 있고, 인문학 관련 전문가의 참여에 대해서는 언급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Shlein, 2022).
IPCC뿐만 아니라 매년 개최되고 있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에 참여하고 있는 국가별 주요 협상단의 구성도 외교부, 환경부를 주축으로 주요 기후변화와 직접적인 연관을 지닌 부서를 중심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교육부 및 국가인권위원회 등과 같은 인문학과 관련된 주요 부서는 국제 협상뿐만 아니라 국내 기후변화 정책수립 시에도 도외시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상 제시된 주요과제 주관부처 중에서도 교육부는 단 1건의 과제만을 담당하고 있으나, 이마저도 단독 주관부처가 아니라 환경부 등과 그 역할을 공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관계부처합동, 2020). 또한, 교육부가 타부처에 비해 인문학과 연관성이 높지만, 교육부 내에 다양한 교과들이 모두 종합적으로 포괄되어있는바, 해당 정책수립에 인문학 소양을 지닌 전문가가 적극적인 참여는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기후변화 적응정책의 최상위계획인 국가기후변화 적응대책에서도 인문학의 참여나 고려는 찾아볼 수 없었다. 범부처 계획임에도 교육부의 참여가 매우 제한적이었으며, 인문학적 소양에 관한 주요 계획은 존재하지 않았다. 가장 관련성 높은 추진과제로는 ‘기후변화 적응 인식 제고 및 확산’을 들 수 있는데, 이 과제에서는 기후변화 적응 교육과 국민소통 및 참여확산 등을 포함하고 있다. 주무부처는 환경부와 기상청으로 인문학을 활용하기보다는 제도와 캠페인을 통해 접근하고 있다. 예산의 경우 대부분 물관리, 생태계, 건강, 에너지 등 주요 거대 적응정책으로 집중되어 있었으며, 적응인식을 제고 하기 위한 사업은 전체 예산의 0.1% 미만이었다. 적응정책에서 인문학은 적응인식을 제고하고 취약계층을 보호하는 전략들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나, 아직 연계되지 못하고 있다(관계부처합동, 2020).
그럼에도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서는 이상기후로 인해 발생하는 폭염, 홍수 등과 같은 기후재해의 취약성이 가장 높은 지역을 분석하거나 취약계층을 분석하여 정책 결정 및 수행시 우선순위 수립을 가능케 한다(Ko, 2009). 이러한 점은 지자체 적응정책에서 인문학적 감수성을 내재하게 한다. 결국, 현재까지 적극적으로 다뤄지진 않았으나, 탄소중립이나 적응정책 속에서 인문학적 수요는 존재하고 있다.
기후변화 담론에서 인문학적 관점이 가장 많이 보여지는 대상은 세계 시민사회에서 보여주는 활동이다. 그레타 툰베리와 같은 개인, 시민단체, 혹은 비영리단체/비정부단체에 의해서 수행되는 Climate movement 등은 기후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활동을 수행하면서, 기후변화가 개인, 사회, 국가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문학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활동한다. 이는 시민사회가 기후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길 원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향후 기후변화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5. 기후위기 시대의 인문정책 방안
5.1. 기후인문학 학문화 방안
기후변화학문이 대체적으로 다학제적이고 간학문적인데도 인문학의 역할이 없었던 것은 더 넓은 개념의 학제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우리는 이를 초학제적 접근으로 삼을 수 있다. 초학제적 연구라 함은 다학제적으로 접근된 학문들이 성공적으로 복합적 문제를 과학적으로 풀어내는 것 이상을 의미한다. 즉, 통상적으로 연계되지 않았던 학문들이 모여 사회적 문제를 풀어낼 수 있음을 지향한다. 이상욱(2015)은 기후변화에 대한 초학제적 연구가 과학적 결론과 그에 근거한 비용-편익 분석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윤리적, 정치적 안건을 제기할 것이라 평했다(Yi, 2015).
기후인문학으로 설명하는 초학제적 연구는 현재까지의 자연과학과 사회과학 관련 분과학문들의 융합연구를 넘어 인문학적 탐색이 적극적으로 연계되는 양상이 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후인문학의 학문화는 ‘기후’와 ‘인문’ 모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인문학의 새로운 분과로서의 학문화와 기후변화 학제에서 새로운 분과로서의 학문화, 두 가지 모두를 고려한 방향성을 가져야 할 것이다. 즉, 인문학에서는 최근 대두되는 융합인문학의 한 영역으로서, 기후변화 학제에서는 인문영역으로 학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자들의 구성과 교류, 영향력에서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학문화에서 가장 필수적인 부분은 ‘학자’와 ‘학술논문’, 그리고 이를 통해 만들어지는 ‘교육과정’으로 볼 수 있다. 유사한 학문을 다루는 학자들의 모임이 학회가 되고, 학회에서 학술논문을 발표하며, 이렇게 축적된 학술 활동을 통해 학문이 정립될 수 있다. 즉, 기후인문학을 학문화하기 위해서는 이를 다루고자 하는 학자들의 모임을 통해 교류를 증진시켜야 한다.
현재와 같은 초기 단계에서는 기존 학술단체 내에 ‘기후인문학’ 관련 그룹을 형성하고, 학자들을 초청하는 방식 등이 가능하고 또한 유효할 것이다. 예를 들면, 한국기후변화학회 내 ‘기후인문학 분과위원회’ 등을 마련하고, 기존 인문학계에서 기후변화를 연구대상으로 삼아오던 학자들을 회원으로 초빙하여 분과를 운영해나가는 것이다. 기존 학술단체의 체계와 인프라를 활용하면서 기후변화 학계에서도 학문영역의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는 방식이 될 것이다. 물론 인문학계 내에서 분과나 그룹을 조직하는 방식도 가능하나, 이 경우 기후변화 담론으로 활용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기존 기후변화학계가 다학제성을 계속해서 확장해 나가는 형태에서 인문학의 역할이 증대될 경우 ‘기후인문학’의 영향력이 보다 빠르게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학자들의 그룹이 형성되면, 학술대회 내 분과 세션을 개최하는 등 주기적인 학술행사를 통해 기후인문학에 대한 학술논문들이 발표되고 교류가 정착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인문학자의 출판 없이 사회과학·이공계열 학자들만의 공간이었던 기후변화학계 학술논문에 기후변화를 텍스트로 삼은 인문학자들의 연구성과를 출판하여 학문화의 단계를 밟아나갈 수 있다. 물론, 환경교육학회나 한국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한국환경철학회 등 인문사회계 학술단체에서도 학술논문 출판을 추진하여 학문화에 활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학문공동체에서 출판하도록 장려할 필요가 있다. 결국, 학문이 정착되고 학문화되었다고 설명되기 위해서는 연구적 장려와 교육과정을 통한 인력양성까지의 선순환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5.2. 기후인문학 연구진흥정책
기후인문학이 하나의 학문영역으로서 다뤄지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인문학과 같이 산업적 수요가 적은 학문의 경우 국가 차원의 장려정책이 연구육성의 중심이 되고 있다. 인문학에서 연구장려 정책의 상위계획으로 볼 수 있는 국가계획은 교육부에서 수립하는 「인문학 진흥 기본계획」과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수립하는 「인문정신문화 진흥 기본계획」이다. 두 계획 모두 비교적 최근인 2021년 12월에 2차 계획이 수립되었으며, 2022년부터 2026년까지를 이행 기간으로 삼고 있다(MOE, 2021; MCST, 2021). 기후인문학과 같은 새로운 학문 분야의 연구진흥·장려를 위해서는 이 두 계획을 검토하고, 장기적으로 해당 계획에 포함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먼저, 「제2차 인문학 진흥 기본계획」에서는 4차산업혁명이나 인문학 위기와 같은 시대의 변화를 인식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계획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번 계획에서도 인문학의 본질 실현과 함께 디지털 기술이나 타 학문과의 융합적 접근을 통한 도전적 내용을 담았고, 인문학의 가치를 대중들과 공유할 수 있는 방향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인문학 중심의 융합연구를 주요 키워드로 삼고, 거대 사회문제 발굴과 해결에 기여할 것을 목표로 삼았다. 지난 계획 기간에서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이 수행한 ‘통합의료인문학’ 연구를 우수사례 삼으며, 이러한 융복합 연구 발굴을 장려하고 있다. 또한,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에서 인문학의 역할(인간의 기술종속화, 윤리문제 등)을 위해 인문사회분야 연구자의 과학기술연구개발사업 인센티브 제도 등을 추진하기도 한다. 장기적으로는 인문학의 중장기적 진흥을 위한 학술전담기구 설립을 계획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점에서 기후인문학의 등장은 고무적이다. 거대 사회문제인 ‘기후위기’를 인문학적으로 접근하는 융복합 연구로서, ‘통합의료인문학’을 잇는 우수사례로서 기대해볼 수 있는 컨텐츠이다.
「제2차 인문정신문화 진흥 기본계획」에서는 인문학의 가치를 위로와 공감, 문화 등으로 확산하고자 방향이 수립되었으며, 특히, 최근의 1인 가구 증대, 지역문화격차 심화 등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역할 확대를 꾀하고 있다. 다만, 학문으로서의 ‘인문학’보다는 시민들의 삶 속에서 인문학 역할 증진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연구장려 차원에서는 매우 제한적인 내용만 담고 있다. 그럼에도, 이번 계획에서는 가장 최근 사회적 이슈인 ‘코로나19’를 인문의 시각으로 기록보존 및 활용하는 전략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활동은 앞으로 ‘기후위기’를 인문의 시각으로 다루는 데 소중한 사료가 될 수 있다. 또한, 차기 계획 속 기후인문학 등장의 선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전반적으로 「제2차 인문정신문화 진흥 기본계획」은 인문학 역할 확대 및 인력양성 차원에서 기후인문학 연구와 연계될 수 있는 계획으로 사료된다.
두 인문학 상위계획을 검토해보았을 때, ‘기후인문학’과 같은 새로운 인문학의 연구 활성화를 위해서는 계획 속에서 세부주제로서 다뤄질 필요성이 있다. 융합인문학의 장려가 돋보이는 인문학 진흥계획과 ‘코로나19’와 같은 최근 사회현상을 주요 컨텐츠로 삼은 인문정신문화 진흥계획 모두 장기적으로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연구장려 차원에서는 인문학 진흥 기본계획 속에서 융합연구의 사례로서 자리 잡는 방안이 필요하다. 현 계획에서 다룬 ‘인문학 중심의 융합연구’의 일환으로서 기후인문학을 제시하고, 현 계획 기간 중 연구과제 발굴과 학술논문 게재 등 가시적인 성과를 통해 제3차 인문학 진흥 기본계획 수립 시 참조될 수 있는 분야로 자리 잡는 형태가 유효할 것이다. 또한, ‘다음 팬데믹(Pandemic)은 기후위기’라고 주장하는 많은 전문가들의 의견처럼, 다음 차기 인문정신문화 진흥 기본계획에서는 ‘코로나19’를 이어, 기후위기를 기록·활용하여 인문가치 확산을 추진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질 필요가 있다.
새로운 범주의 인문학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국내 연구지원을 총괄하고 있는 한국연구재단의 역할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2022년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 분야 학술연구 지원에 2,416억 원이 배정되어 있고, 이공계열과 예산을 함께 사용하는 연구진흥 및 인재양성 부문에 2조 6,845억 원, 국제협력연구지원에 1,027억 원이 배정되어 있다(NRF, 2022). 인문사회분야 대부분의 연구예산이 한국연구재단을 통해 지원되고 있는 것이다.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 분야 학술연구 지원은 재단 사업분류에서 ‘학술·인문사회사업’으로 분류되며, 개인연구와 공동연구, 집단연구, 성과확산, 학술활동 지원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사업구분에서 새로운 범주의 인문학 연구지원을 위해서는 연구자 중심의 개인연구 혹은 공동연구를 통해 기반을 조성하고, 후속사업으로서 집단연구와 성과확산 사업을 통해 연구소 육성과 전문서적을 출판하는 단계에 이를 수 있다. 즉, 개인연구군에서 신진연구자 혹은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을 통해 연구지원을 받는 유형과 기후인문학을 구성할 수 있는 여러 학자들이 모여 일반공동연구 혹은 융복합연구사업을 유치하는 유형이 초기단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문영역 내에서 새로운 인문학에 대해 연구분야로서 구성과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한국연구재단에서 학문분야 별 연구분야는 학자들의 전공영역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지원사업의 평가·선정 등에서 중요한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즉, 학문영역 분류가 되어있지 않으면 해당 연구주제에 대해 공정한 평가나 기회가 주어지기 어렵다. 현재, 한국연구재단의 인문학 내 연구분야는 역사학, 철학, 종교학, 어문학 등 기존 전통적인 인문학 유형대로 구분되어 있다(Table 3). 융합학제의 경우 ‘복합학’ 분야로 구분되어 학제간 연구, 과학기술학, 감성과학 등의 신학문분야들이 포함되어 있다. 다만, 인문학이나 복합학 등 어디에도 기후인문학과 같은 ‘인문학 중심의 융합연구’가 포함될 유형은 존재하지 않았다. 국가 기본계획에서 ‘인문학 중심의 융합연구’ 추진에 대한 의지를 표명했으나, 실제 연구 현장에서는 아직 반영되지 못한 것이다. 이는 기후인문학과 같은 융합인문학 연구 활성화와 기반조성에 제약이 될 가능성이 크다. 「제2차 인문학 진흥 기본계획」의 달성을 위해서도, 가능한 빠른 시일 내 한국연구재단의 인문학 연구분야에서 ‘융합인문학’ 등과 같은 새로운 분야를 구성하고, 해당 영역에서의 연구과제가 수행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에서는 최근 융복합연구 유형을 구성하여 ‘기후정의·건강불평등’, ‘인공지능·언어’, ‘건축·예술·공학 융합’ 등 다양한 융복합 연구주제들이 지원받고 있다. 기후인문학을 비롯한 융합인문학 전반의 활성화는 이러한 유형을 확대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일반공동연구 외에도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에서 ‘융합인문학’ 등의 유형 혹은 분야지정을 통해 장려가 필요한 연구분야의 연구기반을 마련하는 방안도 활용될 수 있다. 이는 ‘통합의료인문학’과 같은 우수사례를 더 많이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다.
정부재원뿐 아니라 탄소중립과 ESG경영에 매진하는 글로벌기업들의 재원출자를 통해 기후인문학의 육성이나 활성화 지원 또한 가능한 부분이다. 현재도 대우재단, 아산재단, 아모레퍼시픽재단 등이 인문학 관련 학술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인문사회분야 국가싱크탱크(Think Tank) 그룹인 경제인문사회연구회와 소관연구기관을 통한 기반 마련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연구기관이나 정부부처 산하연구기관에서 인문학 진흥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이 부재하다. 정부출연기관에서는 정책지향적인 연구가 주류를 이루므로 인문학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데, 직접 수행되지 않더라도 협업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현재 경제인문사회연구회에서 운영 중인 ‘인문정책특별위원회’와 같은 임시조직을 통해 연구기반을 지원하거나, 이를 확대하여 융합인문학 육성으로 활용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에서 ‘인문’ 역할이 가장 적은 것이 현실이다.
‘기후인문학’이라는 컨텐츠를 제외하더라도 융합인문학과 인문학 진흥을 위한 공통된 시각들이 이미 제시되고 있었다. 김동춘은 ‘고등사회과학원’의 설립을 주장하였는데, 이는 연구소와 교육기관이 결합된 형태로 국가 사회 비전 수립을 위한 이론과 정책연구 기능 및 신진연구인력을 양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공계열의 고등과학원과 대칭되는 형태이다(Kim, 2018). 송승철 등은 ‘인문융합혁신연구원’을 제안하였는데, 인문정책 기획 및 개발기능과 연구자 고용창출 기능을 포함하는 기관이다. 국무총리실 산하로 구성하며, 연구자 지원과 미래기술연구가 특화된 부분이다(Song, 2019). 이강재는 학술진흥원 및 학술진흥위원회 형태의 조직을 제안하였다. 연구자의 사회안전망을 확대하고 지역 및 대학별로 특화된 분야를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방안을 폭넓게 다루었다. 다만, 미래지향적 성격보다는 인문학 지원에 초점이 되어있다(Lee, 2019). 김귀옥 등은 기존에 제안된 모델의 장점은 강화하고, 단점은 보완하는 형태를 통해 새로운 인문사회 학술정책 거버넌스 모델로서, ‘인문사회 학술정책연구원’을 제안하였다(Kim et al., 2021). 여기에서 ‘인문사회 학술정책 거버넌스’는 인문사회 학문을 발전시키기 위해 연구자의 자율과 책임에 기반한 학술연구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연구재정을 확보·운영하며, 성과의 환류를 도모하는 협치체로 설명하였다. 연구원의 위상은 국무총리실 산하와 교육부 산하로 설립하는 두 가지 안을 제안하였다(Table 4).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기관들의 출범을 통해 인문학 진흥과 융합인문학의 기반이 조성되길 기대한다. 이번 연구에서 구체적인 기관설립(안)을 제시하기보다는, 기존 방안들의 토대에서 융합인문학과 미래인문학의 관점을 포함한 전담기관이 설립되길 희망한다. 특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연구기관으로 위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5.3. 기후인문학 교육정책
현재는 초등·중등·고등 교육과정 내에 기후인문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육과정은 부재하지만, 간접적인 연관이 있는 ‘사회’ 및 ‘과학’(초등교육)과 ‘환경’(중등·고등교육) 교과목을 중심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학교과에서도 기후변화와 인문학을 연계한 교과나 세부전공 등은 아직 존재하지 않았다.
기후문제에 대한 인문학적 소양을 갖추기 위해 교육과정 내에서 반영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각 초등·중등·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알맞은 수준의 컨텐츠를 개발하여 교재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기후변화 교육만을 다루는 것이 아닌 기후담론이 문학이나 윤리와 같은 기존 교과 내에서 다뤄지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교과과정 내 기후인문학적 소양을 포함하는 것과 함께, 주기적인 세미나 혹은 워크숍 등을 통해 기후인문학에 집중된 교육이 시행될 필요도 있다. 이는 교사에 해당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기초교육과정에서 이러한 소양이 담긴 교육이 전해지기 위해서는 환경교사를 양성하는 환경교육학과나 유사 교육전공 학과(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각 지역교대 등)에서 기후인문학적 소양이 내재될 수 있는 교과를 신설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즉, 각급 학교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는 교사들의 기후인문학적 소양이 학생들의 역량 배양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대학 교과에서는 교양과목에서 기후와 인문학을 접목한 강의를 통해 대학생들의 기후인문학 소양 증진을 기대하는 것을 현실적인 목표로 설정할 수 있다. 기후인문학 관련 과목을 공통 교양과목으로 신설하여 관련 전공 학생들뿐만 아니라, 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 기존 기후변화 교과와는 달리 기후인문학은 전문가 양성을 넘어 기후인문학적 소양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기후변화 전문가뿐만 아니라 향후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게 될 시민을 대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석·박사 이상의 전문가 양성을 위해서는 기존 기후변화 학제와의 융합적 접근이 유효할 것으로 기대한다. 독자적인 커리큘럼을 발굴하는 데는 학문적 준비와 인력시장에서의 수요가 뒷받침되어야 함으로, 단기적으로 접근하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 과학기술사, 과학기술정책 등으로 과학기술정책과 인문사회학이 접목된 과거의 사례처럼, 융합학문으로서 정착과 함께 전문 교육과정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그레타 툰베리를 비롯하여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는 10 ~ 20대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는 곧 교육의 대상인 청소년 및 청년들의 인식이 변화하여 기후변화 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교육정책 내에서는 아직까지 이와 같은 수요를 충족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환경 조성의 밑바탕이 될 기후변화 관련 교육이 제한적이며, 기후변화 발생 원인 및 영향 등과 같이 과학적인 접근법을 중심으로 채택되고 있다. 또한, 기후인문학의 경우, 문·이과를 아우르는 융합적인 학제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독립적인 학과 및 과목으로까지 신설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가 국가적 그리고 전세계적인 과제로 제시되어 있는 만큼 인문대학 및 인문대학 내부에서의 관점 혹은 기후변화 전공 등을 통해서 기후인문학적인 관점을 제시할 필요성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6. 고찰 및 결론
현재까지의 기후변화 담론에서 인문학의 역할은 미미했다. 학문영역에서도 소외되었고, 국제협약이나, 계획 수립, 이행 등 정책의 전 과정에서도 전혀 다뤄지지 않았다. 학계에서는 융합학문을 지향하였으나, 인문학이 없는, 사회과학과 자연과학 및 공학 간의 융합학문이 되어 있었다. 이는 논문출판이나 학술발표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는데, 인문학에게 기회가 닿지 않은 것도 사실이나, 인문학의 관심이 적었던 것도 사실이다. 기후위기에 관심이 많은 인문학자들의 참여와 학술활동을 위한 공간이 넓어지고, 그들의 적극적 참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기후변화 협약이나 대응 정책 과정에서 인문학의 부재는 ‘기후변화’문제의 태동에 관여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과학으로 시작되어 국제협력으로 발전되고, 공학적·정책적으로 해법을 찾고 있는 것이 지금까지의 담론이다. 물론, 기후변화 정책 담론에서의 인문학은 그 필요성이 종종 제기되나, 아직은 소수의견에 그치고 있다. 실제로 과학기술이 중심이 된 각 분야에서 인문학을 위한 공간을 자체적으로 내어주기는 구조적으로 어려움이 존재한다. 즉, 인문학에서 먼저 나서야 한다. 인문학 진흥에서 시작하여, 기후위기를 비롯한 사회문제 속으로 인문학의 역할을 늘려나가야 한다. 거대 사회문제에서 인문학의 효과와 선례를 남겨줄 수 있어야 해당 담론 속으로 녹아들 수 있을 것이다.
기후위기 시대에서 인문학의 역할 증진을 위해서 새로운 인문학, 즉 ‘기후인문학’의 학문적 정립과 연구 활성화, 교육정책 개편 등을 우선적인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인문학의 새로운 분과로서의 학문화와 기후변화 학제에서의 새로운 분과로서 학문화, 두 가지 노선(Two Track)에서 학문화의 방향을 논하였다. 특히, 다학제성이 기초가 되는 기후변화 학계에 기존에 포함되지 않았던 인문학자의 참여(분과위원회, 학술논문, 학술대회 등)를 통해 인문학의 역할을 증대시키면서 새로운 학문분과로서 자리 잡는 방향이 학문화에 보다 큰 파급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초학제적인 접근으로서 기존 기후변화학과 인문학의 연계를 실현할 것이다.
연구장려를 위해서는 인문학 국가계획에서 강조하는 융합연구 활성화의 일환으로 기존 연구지원사업과 연계한 지원들이 유효할 것이다. 특히, 최근 계획에서 코로나-19를 텍스트로 삼는 것을 주요 항목으로 다룬 것처럼, 앞으로의 인문학 국가계획에서 기후위기를 주요 텍스트로 삼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국연구재단에서 인문학 중심의 융합연구 장려를 추진할 수 있으며, 융복합연구 유형이나 인문사회연구소 사업 등을 통해 기후인문학 연구의 활성화를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지정 공모’ 유형을 통해 연구를 지원할 경우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경제인문사회연구회와 소관연구기관에서도 이를 도외시하지 않고, 지속적인 인문학 기반 융합연구를 추진 및 지원할 것을 희망한다. 기존 연구들에서도 제시된 바와 같이 기후인문학과 같은 미래지향적 인문학 혹은 융합인문학 진흥을 위한 전담기구의 신설과 이를 통한 인문학의 진흥정책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보인다. 신설 기관의 형태와 역할에 대해서는 폭넓은 논의가 필요하나, 현재의 체계에서는 한계가 분명하다.
현재까지의 기초교육과정에서는 ‘기후위기’ 혹은 ‘기후인문학’에 대한 직접적인 관련 교과를 가지고 있지 못하였다. 중·고등교육과정에서 선택과목으로 존재하는 ‘환경’ 교과가 있으나, 선택 비중이 낮은 편이며, 그중에서도 기후위기와 인문학적 내용은 더욱 제한적이었다. 대학의 경우 자연과학, 공학, 사회과학 관점에서는 기후위기 관련 신설학과나 교과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인문학과 연계한 기후위기 교과는 매우 제한적 수준이다. 특히, 기후융합학과를 신설한 대학교들에서도 인문학적 교과목은 전무하였다. 융합을 내세웠으나, 여기엔 과학기술적 융합이 바탕이 되고 있다. 기초교육과정과 대학교육 모두에서 점진적 교과 확대가 요구되며, 장기적으로는 석·박사급 과정에서도 기후인문학적 역량 배양이 실현되길 기대한다. 이는 기후위기 시대에 행동하는 미래세대를 만드는 데 일조할 것이다.
기후인문학적 소양을 갖춘 미래세대 양성에서 더 나아가, 기후인문학 전문가 양성을 지향할 수 있다. 다만, 전문가의 양성은 인문학 분야와 기후위기 분야에서 인적수요를 고려해야 하며, 장기적으로 인문학적 소양을 발휘할 수 있는 직업 영역의 발굴이 병행되어야 한다. 기후위기 정책 담론에서의 인문학의 역할을 증진하거나, 공공기관에서의 수요 혹은 국제사회의 연대를 위한 일원으로서 활용될 수도 있다. 다만, 독자적인 ‘기후인문학’만을 전공하는 전문가의 수요보다는 기후융합 전공자의 미래 수요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인문학을 중심으로 한 융합학자 및 전문가를 양성하고 활용하는 체계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의 인문학 정책연구(2020-10) 및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신진연구자지원사업(과제번호: NRF-2022S1A5A8051754)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또한, 국민대학교의 학술지원에 감사드립니다.
Notes
References
- Botzen W, Duijndam S, van Beukering P. 2021. Lessons for climate policy from behavioral biases towards COVID-19 and climate change risks. World Development 137: 105214. [https://doi.org/10.1016/j.worlddev.2020.105214]
- Campiglio E, Dafermos Y, Monnin P, Ryan-Collins J, Schotten G, Tanaka M. 2018. Climate change challenges for central banks and financial regulators. Nature climate change 8(6): 462-468. [https://doi.org/10.1038/s41558-018-0175-0]
- Christian Aid. 2021. Counting the cost 2021: A year of climate breakdown. London. UK.
- Cohen J, Foote S. (Eds.). 2021. The Cambridge Companion to Environmental Humani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017/9781009039369]
- Eckersley R. 2015. The common but differentiated responsibilities of states to assist and receive ‘climate refugees’.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Theory 14(4): 481-500. [https://doi.org/10.1177/1474885115584830]
- Hamilton C. 2016. Define the Anthropocene in terms of the whole Earth. Nature 536(7616): 251-251. [https://doi.org/10.1038/536251a]
- Huang MT, Zhai PM. 2021. Achieving Paris Agreement temperature goals requires carbon neutrality by middle century with far-reaching transitions in the whole society. Advances in Climate Change Research 12(2): 281-286. [https://doi.org/10.1016/j.accre.2021.03.004]
- Hubbell JA, Ryan JC. 2021. Introduction to the Environmental Humanities. Routledge. [https://doi.org/10.4324/9781351200356]
- IPCC. 2022.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Ⅱ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Jo J. 2015. Climate change and humanities. Dongwha. Seoul. Republic of Korea (in Korean).
- Joint Ministries (JM). 2020. 2050 Carbon Neutral Strategy of ROK. Sejong. Republic of Korea (in Korean).
- Khan M, Robinson SA, Weikmans R, Ciplet D, Roberts JT. 2020. Twenty-five years of adaptation finance through a climate justice lens. Climatic Change 161(2): 251-269. [https://doi.org/10.1007/s10584-019-02563-x]
- Kim DC. 2018. Necessities for Establishing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in Social Sciences’ and Tentative Design for Managing it. Korean Studies Quarterly 41(4): 7-38 (in Korean with an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25024/ksq.41.3.201809.7]
- Kim GO, Joo YJ, Choi Y, Hong DK. 2021. A Study on Establishing the New Governance to Build Academic Polic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National Research Council. Humanities Policy Study. Sejong, Republic of Korea (in Korean with an English abstract).
- Kim J. Nahm WH, Lim HS. 2016. Anthropocene : on the starting point and the significance of the new geological epoch.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2): 163-17 (in Korean with an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14770/jgsk.2016.52.2.163]
- Kim SM. 2015. Crisis and Post in the Humanities: The Direction of the Humanities Korea (Post-HK). Philosophy and Reality 105: 119-138 (in Korean with an English abstract).
- Ko J. 2009. A Study on Vulnerability Assessment to Climate Change in Gyeonggi-Do. Gyeonggi Research Institute. Policy Study 2009-37 (in Korean).
-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Extreme Climate Report 2021; KMA: Seoul, Korea, 2021.
- Korea Society of Climate Change (KSCC). 2022. Introduction of Society; [accessed 2022 March 2]. http://kscc.re.kr/journal/article_search.php
- Kreienkamp F. 2021. Rapid Attribution of Heavy Rainfall Events Leading to the Severe Flooding in Western Europe during July 2021. World Weather Attribution 2: 8732135
- Lamb WF, Grubb M, Diluiso F, Minx JC. 2022. Countries with sustained greenhouse gas emissions reductions: an analysis of trends and progress by sector. Climate Policy 22(1): 1-17. [https://doi.org/10.1080/14693062.2021.1990831]
- Lee JC, Lim CH, 2022. The Responses and Roles of the Humanities in the Era of Climate Change: Focusing on Philosophy, Religion, and Literature.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13(4): 447-457 (in Korean with an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15531/KSCCR.2022.13.4.447]
- Lee KJ. 2019. Re-establishment of academic promotion policy establishment system and study on mid to long-term academic promotion pla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Daejeon, Republic of Korea (in Korean).
- Liu Z, Deng Z, He G, Wang H, Zhang X, Lin J, Liang X. 2022.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carbon neutrality in China. Nature Reviews Earth & Environment 3(2): 141-155. [https://doi.org/10.1038/s43017-021-00244-x]
- McCorriston J, Field J. 2019. World Prehistory and the Anthropocene: An Introduction to Human History. Thames & Hudson, Limited.
-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CST). 2021. The 2nd Basic Plan for Promotion of Humanities and Spiritual Culture. Sejong. Republic of Korea (in Korean).
- Ministry of Education (MOE). 2021. The 2nd Humanities Promotion Basic Plan. Sejong. Republic of Korea (in Korean).
-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NRF). 2022. Introduction of Research Fund; [accessed 2022 March 4]. https://www.nrf.re.kr/cms/page/main?menu_no=98
- Nixon R. 2011. Slow Violence and the Environmentalism of the Poor. Harvard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4159/harvard.9780674061194]
- Oh H, Hong I, Oh I. 2021. South Korea’s 2050 Carbon Neutrality Policy. East Asian Policy 13(01): 33-46. [https://doi.org/10.1142/S1793930521000039]
- Park I. 2022. Theology of Things in the Age of Climate Change and Ecological Crisis: Philosophy of Staying with Things, Theology of Staying with Humans, Humanities of Staying with the Earth. Korean Journal of Christian Studies 124: 365-401 (in Korean with an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18708/kjcs.2022.4.124.1.365]
- Schlein L. 2022. “Scientific Meeting Focuses on Impacts, Adaptation,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VOA news, Feb 2022.
- Schlosberg D. 2012. Climate justice and capabilities: A framework for adaptation policy. Ethics & International Affairs 26(4): 445-461. [https://doi.org/10.1017/S0892679412000615]
- Semieniuk G, Campiglio E, Mercure JF, Volz U, Edwards NR. 2021. Low‐carbon transition risks for finance.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s: Climate Change 12(1): e678. [https://doi.org/10.1002/wcc.678]
- Singh C, Ford J, Ley D, Bazaz A, Revi A. 2020. Assessing the feasibility of adaptation options: methodological advancements and directions for climate adaptation research and practice. Climatic Change 162(2): 255-277. [https://doi.org/10.1007/s10584-020-02762-x]
- Siperstein S, Hall S, LeMenager S. (Eds.). 2017. Teaching climate change in the humanities. London, UK: Routledge. [https://doi.org/10.4324/9781315689135]
- Song SC. 2019. Humanities Policy in South Korea: Reflections and Resolutions. National Research Council. Humanities Policy Study. Sejong, Republic of Korea. (in Korean with an English abstract).
- Van der Ven H, Sun, Y. 2021. Varieties of crises: Comparing the politics of COVID-19 and climate change.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21(1): 13-22. [https://doi.org/10.1162/glep_a_00590]
- Yi SW. 2015. Philosophical Issues of Climate Science: Epistemological Conditions for Successful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Ethical Implications. The Korean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18(1): 151-180 (in Korean with an English abstract).
- Yoo HS. 2021. Climate Change and Climate Fiction. Studies in Modern Fiction 28(1): 35-65. (in Korean with an English abstract).